티스토리 뷰
DSR 도입과 규제에 따른 변화
개인적 생각임을 미리 말씀드립니다
먼저 dsr이란 채무상환비율을 뜻하며 세계은행이 한 국가 외채의 심각성을 판단하는 기준
이것을 기반으로 연간 대외채무상환액을 같은 기간중의 총수출액으로 나눈값인데..
더 쉽게 말하자면
외국으로 수출하는 외화규모중에 얼마를 외채상환액으로 지불하고 있느냐임
소득이 있는데 해당 소득중에 얼마를 대출금으로 갚고있느냐라고 이해하면됨
일단 이게 은행에서 적용된 사례는 국민은행임..
연이어서 모든 은행이 도입하겠지...
자.
일단 각 은행권에서 받은 대출금 있을거 아니겠음?
그럼 대출이자가 일단 비싸짐. 확정금리가 아니고 변동금리이기때문에..
나머지는 다음편에
'생활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SR의 도입에 따른 부동산 변화 (0) | 2017.04.26 |
---|---|
경기도 권 역전세의 개인적인 동향.. (0) | 2017.04.20 |
국민연금과 대우조선해양 파산 수용!! (0) | 2017.04.18 |
댓글